[화가의 여행] 기적의 건축물, 판테온





mug_obj_139514793750628804.jpg








기적의 건축물

판  테  온  




mug_obj_139514527650854588.jpg


세계의 수도, 로마에 왔다. 로마란 이제 나에게 단지 하나의 공허하고 막연한 단어가 아니라 비로소 드디어, 내 눈앞에 현현해 있는 실재가 되었다.






mug_obj_139514853634343200.jpg


너무 유명해서 설명이 필요없는 콜로세움을 보았다. 2천년을 품고 있는 역사와 보잘것 없는 현재의 내 몸뚱아리가 곳곳에서 충돌하는 묘한 느낌이 들었다.

밀라노에서 만났던 한 한국인은 나에게 말하길, 여태까지 가본 곳 중에 티켓 값과 오랜 줄을 기다려 콜로세움 안에 들어갔던 것이 가장 후회되었으며 별로였다고 말했는데, 난 오늘에서야 이렇게 말할 수 있다. 여태까지 여행지에서 만나 본 사람 중 그 놈이 가장 별로였다고..






mug_obj_139514527700988688.jpg


콜로세움은 그 규모만큼이나 건축역사적으로도 의의가 많다고 하다. 일례로 현대건축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시멘트를 처음 발명해 적용한 곳도 콜로세움이라 한다. 내부를 거닐면서 고대 로마를 상상하는데 나의 부족한 상상력을 영화 <글레디에이터> 와 함께 떠올리니 훨씬 수월했다.






mug_obj_139514597639861729.jpg


예술품이나 건축물이 완벽히 보존되어서 원래 그것이 만들어졌던 당시의 모습 그대로를 감상할 수 있는 것도 좋아하지만 사실 나는 오래되어서 희미해지고 없어지고 때론 터만 남고 이끼가 끼고 잔해들만 겨우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모습들에 더 감동을 잘 받곤 한다.






mug_obj_139514606836219955.jpg


자연으로 회귀하려는 본능과 끝까지 예술로서 남고 싶은 건축의 욕망이 부딪힌다. 그 뜯겨지고 없어진 빈 공간에 마구마구 내 멋대로 상상을 펼칠 수가 있는데 나는 그런 폐허 앞에서 이런 식으로 멍 때리는 것을 즐긴다.






mug_obj_13951459769189807.jpg


사실 이런 기분을 가장 잘 느겼던 여행지는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였지만 로마의 콜로세움 옆에 있는 폐허가 된 고대의 도시, 포로로마노 역시 그러한 기분을 충분히 느끼게 해 주었다.






mug_obj_139514597676296529.jpg


mug_obj_139514650835318577.jpg


현재 이 시대도 시간의 위력 앞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. 대부분의 것들은 포로로마노처럼 결국 인간에 의해 무너지거나 자연에 의해 파괴될 것이다. 지금 내가 생활하는 모든 것이 먼 미래에는 고고학적 대상이 될 것이다. 오늘도 포로 로마노에서 사람들은 인류의 먼 과거이자 동시에 먼 미래를 보고있는 것이다.






mug_obj_139514666327686410.jpg



2천년동안 유일하게 완전한 형태로 살아남은 로마의 건축, 판테온을 보았다. 골목 사이를 지나 판테온이 처음 눈 앞에 등장했을 때 순간적으로 나를 압도하는 존재감은 바티칸 미술관에서 보았던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와 비할 바가 아니었다.






mug_obj_139514671686696594.jpg


아마 내가 알고있는 수사와 어휘로는 판테온 앞에서 느낀 나의 감성을 언어화시키지 못할 것만 같은 좌절감에 한참을 망설이다가 늦은 밤이 되어 겨우 글을 쓰고 있다.






mug_obj_139514693042686521.jpg


이걸 눈 앞에서 보고 있노라면 이제껏 유럽을 여행하며 수없이 감탄했던 모든 건축물들이 단 한번에 내 머리속에서 사라진다 해도 괜찮을 정도다. 판테온은 단지 오래된 건축이라는 기념비적인 의미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, 그 숭고하고 중후한 중력으로 하여금 주변의 모든 풍경의 시공간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었다.






mug_obj_139514688252837874.jpg


세월의 무게탓에 조금 부숴지고 깎여졌지만 여전히 그 역할을 굳건하고 묵묵하게 수행하고 있는 건물의 외벽과 기둥들에게 존경심이 일어났다. 참고로 나는 로마에 머문 열흘의 기간동안 판테온을 세 번이나 갔다.






mug_obj_139514722070498996.jpg


내부로 들어갔다. 내부는 또 완전히 다른 세계다. 현존하고 있는 로마건축 중에 최초로 돔 구조를 보여주는 판테온의 내부는 최초라는 수식에 걸맞지 않게 완벽한 수학적 세계를 이루고 있다.






mug_obj_139514722142483404.jpg


높이와 넓이가 완전하게 동일한 크기로, 전체적으로는 커다란 원의 세계이며 그 속에서 사각형과 삼각형들이 작은 세계들을 이루고 있다. 기둥 하나없이 내부 전체가 완전한 원으로 형성된 지극히 미니멀하면서도 그렇기에 너무나도 현대적인 건축이다.






mug_obj_139514722108244729.jpg


가히 기적의 건축물, 미켈란젤로의 말대로 천사의 설계라 불리울만 하다.






mug_obj_139514751570746389.jpg


mug_obj_13951475163158382.jpg


천장에 동그랗게 뚫린 구멍, 오쿨루스에는 빛과 함께 비가 떨어지고 있었는데 정말 비오는 날의 판테온은 소문대로 정말 멋있었다.






mug_obj_139514785875511544.jpg


며칠 전 쟈니꼴로 언덕에서 로마 전경을 보았는데 판테온의 모습은 마치 도시 속에 안착한 UFO를 연상케 했다. 누군가 고대에 외계인이 만들었다 주장해도 쉽사리 웃어넘기지 못할 정도로 판테온은 비밀스럽고 신비스런 세계를 간직하고 있다.






mug_obj_139514793750628804.jpg


판테온은 피렌체의 예술가 브루넬레스키를 감동시켜 르네상스 건축의 문을 열게 만들었던 영감의 원천이자, 그 이후 지어진 모든 돔 구조를 갖는 건축들의 원형이다.






mug_obj_139514811618948039.jpg


그리고 불교미술사가 이주형 교수와 최근 방영된 KBS 다큐에 따르면, 이 판테온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실크로드를 타고 석굴암의 돔 구조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니 참으로 흥미로운 역사의 전개가 아닐 수 없다.






mug_obj_139515002456315510.jpg


로마에 엄청난 예술품들이 많지만 단 하나만 꼽는다면 단연코 판테온이다.




마크다운 타이틀 디자인 @kyunga




slogo.jpg




H2
H3
H4
Upload from PC
Video gallery
3 columns
2 columns
1 column
59 Comments